멀리 보이는 곳..
고층 건물은 전혀 보이지 않은
초록의 바다가 물결처럼 일고 있었다.
여행의 마지막 코스인데..
궁금했던 곳을 향해서 한발자국 앞으로 나아간다.
스웨덴어로는 헬싱포르스(helsingfors)라고 한다.
현재의 도시역은 핀란드만(灣)에 돌출한 작은 곶(串)과 그곳을 중심으로 하는
주변의 섬들로 이루어져 있다. 1550년 스웨덴의 구스타브 1세(일면 구스타브 바사)가
처음으로 도시를 건설하였는데, 당시의 위치는 곶의 동부에서
북쪽으로 깊숙이 들어간 후미 안쪽에 있었다. 구스타브 1세는 대(對)러시아
무역의 거점으로 삼기 위해 이 도시를 건설하였으나 뜻대로 되지 않았고,
도시역은 현재의 위치로 옮겼는데 급속히 성장한 것은 투르쿠에 있던
수도가 옮겨온 1812년 이후였다.
3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항구도시로, 발트해(海) 항로의 객선이 기착하는 남항(南港) 외에
북항·서항이 있어 기능이 분화되어 있다. 핀란드 최대의 수입항이며 동시에
수출항으로도 중요하기 때문에 겨울에도 쇄빙선(碎氷船)을 가동하여 항로를 유지한다.
북항을 중심으로 한 동쪽 연안부와 서항 주변은 공업지역으로,
조선(특히 쇄빙선)을 비롯하여 섬유·식품·금속·기계·도기 등의 생산이 활발하다.
철도는 국내 각 지역과 연결되며, 상트페테르부르크사이에 국제철도가 통한다.
국영 항공회사인 핀에어가 유럽 및 북아메리카 간을 연결한다. 남항에
면하는 마켓 광장에는 노천시장이 열려 시민이나 관광객이 모여드는데,
일대에는 대통령 관저·스웨덴 대사관·시청 등이 들어서 있다.
그 바로 북쪽이 시의 중심인 상원광장(上院廣場)으로 헬싱키대학과 러시아
양식의 대성당, 정부기관이 주위에 집중되어 있다.
녹지대가 많은 시내에는 국립박물관·국회의사당·음악당 외에 개성 있는 근대적 건축물이 전통적인
교회 건축물과 잘 조화되어 청결한 도시를 이루며, ‘발틱의 아가씨’라고 부른다.
북위 60°10'의 고위도에 위치하나 기후는 온화하여 2월
평균기온이 -5.8℃, 7월이 17.3℃, 연평균 강수량은 698mm이다.
1952년 이곳에서 올림픽이 열렸다.
속소도착
곁모습은 아주 중세의 느낌을 풍기며
줌마의 가슴을 설레게 했는데
룸은 완전 초현대식..
늦은 식사..
일인분의 양이 산더미로 나와서
놀라고 노르웨이에 비해서
식대가 저렴해서 놀라고...ㅎㅎ
옷 사이즈..
세상에 이럴수가..하는 말이 절로
터져 나왔다.
특히 여체의 몸매 비율이..눈이 돌정도로 비대칭적이고
우리가 극히 정상임을..
실망을 말아야지..늘어나는 뱃살 별 것 아니야..
헬싱키 역사
원어명 | Helsingin päärautatieasema |
---|
1919년 완공되었다. 핀란드의 주요도시와 연결되며, 러시아의 상트페트르부르크(Saint Petersburg)를
경유해 모스크바(Moskva)까지 연결하는 국제 철노노선도 운행되는 헬싱키 철도 교통의 중심지이다.
1860년 헬싱키와 헤멘린나(Hämeenlinna)를 연결하는 핀란드 최초의 철도가 개통되면서
스웨덴 건축가 카를 알베르트 에덴펠트(Carl Albert Edelfelt)가 설계하여 처음 역이 건설되었다가
1904년 교통 수요가 증가하면서 새로운 역사 건축물을 위한 공모전이 진행되었고,
공모전에서 우승한 핀란드 건축가 엘리엘 사리넨(Eliel Saarinen)이 설계하여 1919년에 완공되었다.
사린넨은 아르누보(Art Nouveau) 양식이 가미된 디자인으로 설계된 건물의 외관은
적갈색 화강암으로 마감되어 있으며, 정문의 장중한 대형 아치와 49미터의 시계탑,
램프를 들고 있는 네 개의 거대한 조각상 등이 있다. 19개의 승강장을 갖추고 있으며,
초고속 열차 노선인 펜돌리노(Pendolino)를 비롯해 다양한 등급의 열차가 있다.
역사의 지하에는 1982년 완공된 헬싱키 지하철의 라우타티엔토리 역(Rautatientori metro station)이 있다.